성경공부 자료 알쓸잡

[성경 결혼 풍습문화] 결혼지참금 מֹהַר (모하르)의 유대인 풍습

복음의 능력 2025. 5. 2. 13:09
반응형

'모하르'는 고대 이스라엘의 결혼 풍습에서 신랑 또는 신랑의 아버지가 신부의 아버지에게 지불했던 일종의 '신부대' 또는 '결혼금'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신부를 사들이는 개념이 아니라, 여러 가지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법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모하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개념 및 목적:

계약의 증표: 모하르는 정혼(Erusin) 계약을 공식화하고 확정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신랑 측에서 신부 측에 모하르를 지불함으로써 결혼 약속이 구속력 있는 계약이 되는 것입니다.

신부 가족에 대한 보상: 딸은 가족의 노동력이자 장차 가문을 이을 후손을 낳을 중요한 존재였습니다. 신랑 측이 신부를 데려감으로써 신부 가족이 잃게 되는 노동력과 미래 가치에 대한 일종의 보상 성격이 있었습니다.

신부의 안정과 권리 보장: 모하르는 신부의 경제적 안정에도 기여했습니다. 지불된 모하르는 일반적으로 신부의 재산이 되거나, 결혼 생활 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이혼 등) 신부의 생계를 보장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습니다. , 신부를 경제적으로 보호하는 장치였습니다.

금액의 결정:

모하르의 정확한 금액은 사회적 지위, 가문의 부유함, 신부의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었지만, 율법에는 최소 금액이 명시되어 있었습니다.

신명기 2229절에 따르면, 처녀와 동침한 남자는 그 아버지에게 은 오십 세겔을 벌금으로 내고 그 여자를 아내로 삼아야 했는데, '은 오십 세겔'이 처녀에 대한 기본적인 모하르 금액으로 여겨졌습니다. (물론 이 경우는 정식적인 결혼 절차가 아닌 상황에 대한 규례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지불되는 모하르는 이보다 훨씬 많을 수도 있었으며, 부유한 가문이나 유력한 집안 사이의 결혼에서는 상당한 액수가 오가기도 했습니다. 성경에서 야곱이 라헬을 얻기 위해 14년간 봉사한 것도 모하르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모하르와 지참금:

모하르와 혼동될 수 있는 개념으로 '지참금' (Dowry)이 있습니다. 지참금은 신부의 가족이 신부에게 주는 재산으로, 신부가 결혼 생활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나 재산을 의미했습니다. 모하르가 신랑 측에서 신부 측으로 가는 것이라면, 지참금은 신부 측에서 신부에게 주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는 별개였지만, 모하르가 신부의 재산이 되면서 지참금과 유사한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법적 및 사회적 의미:

모하르는 결혼 계약의 핵심 요소로서, 이를 통해 신랑은 신부에 대한 법적인 권리(: 신부의 노동력 사용, 성적인 독점권 등)를 얻게 되었습니다. 동시에 신부 역시 남편에게서 경제적 보호와 부양을 받을 권리를 가졌습니다.

모하르는 단순히 돈이나 재산을 주고받는 거래가 아니라, 두 가문이 연합하고 새로운 가정을 형성하는 사회적 의례의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신학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신부'로 맞이하시기 위해 자신을 내어주신 사건을 최고의 '모하르'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죄와 사망의 권세 아래 있던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예수님께서 자신의 생명을 대가로 지불하셨다는 점에서, 이는 세상의 어떤 모하르와도 비교할 수 없는 값진 대가인 것입니다.

이처럼 모하르는 고대 이스라엘 사회의 결혼 제도와 경제생활에 깊이 뿌리내린 중요한 요소였으며, 성경 속 결혼 관련 비유나 사건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배경 지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룻기 1장 주석 강해설교] 엘리멜렉과 나오미의 모압 이주(룻 1:1-22)

 

[룻기 1장 주석 강해설교] 엘리멜렉과 나오미의 모압 이주(룻 1:1-22)

룻기 1장 주석 강해설교 말씀은 엘리멜렉과 나오미가 모압으로 모든 재산을 정리하고 이주하는 내용이 나옵니다. 베들레헴에 기근이 임하자 엘리멜렉 가족은 모압으로 갔습니다. 영적으로 보면

skh123.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