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설교 알쓸잡

[룻기 1장 히브리어성경 강해] 룻이 나오미에게 간청함(룻 1:15-18)

복음의 능력 2021. 10. 3. 11:48
반응형

나오미의 며느리 중에 오르바는 나오미와 입을 맞추고 자신의 고향인 모압으로 갔습니다. 그러나 룻은 끝까지 나오미와 함께 하겠다고 말합니다. 그러면서 동행하는데 나오미는 룻이 마음에 걸려서 계속해서 자신의 고향인 모압으로 가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자신과 함께 베들레헴에 가도 소망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룻에게 가라고 말하지만 룻은 나오미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는 계속해서 나오미와 함께 베들레헴에 가서 함께 하나님을 섬기고 함께 죽겠다고 합니다. 룻의 신앙관을 알 수 있습니다.

 

룻이 나오미에게 간청함(룻 1:15-18)

 

15절 바토메르 힌네 솨바 예비므테크 엘 암마흐 베엘 엘로헤이하 슈비 아하레 예비므테크

성 경: [룻1:15]

주제1: [나오미와 룻의 신앙]

주제2: [나오미와 동행하려는 룻]

󰃨 그 백성과 그 신에게로 돌아가나니 - 이것을 원문대로 문자적으로 옮기면 '그녀의 백성과 그녀의 신들에게로 돌아갔으니'가 된다. 다시 말해 오르바(Orpah)는 자기가 속한 백성에게로 갔을 뿐 아니라, 자기 백성이 섬기는 신()에게로 돌아갔다는 의미가 된다. 이처럼 결과적으로 볼 때 오르바는 단순히 그의 시어머니의 품을 떠난 것이 아니라, 여호와 하나님을 떠나 그모스(11:24) 또는 바알브올(민 25:3,5) 신을 섬기는 우상의 땅으로 돌아간 것이다. 따라서 본절에서 나오미가 룻에게 이 말을 한 것은 13절에서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시모(媤母)에 대한 애정을 초월하여, 여호와를 향한 룻의 신앙을 시험해 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사실 고대 세계에서는 자기 종족이 섬기는 신을 버리는 것은 본토나 친척, 아비의 집을 떠나는 것 이상으로 극히 어려웠다. 특히 부족 국가를 이루며 살던 당시에는 부족신을 떠나 다른 신을 섬기는 일이 흔하지 않았으므로, 나오미는 이것으로 룻의 신앙을 시험해 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장면을 풀러(Thomas Fuller) 박사는 야곱의 경우와 비교하여 역설적으로 재미있게 묘사했다. "마치 하나님이 얍복 강가에서 야곱의 신앙을 꺾기 위해 애쓰신 것처럼, 여기서 나오미는 자부 룻의 올바른 결심을 좌절시키기 위해 노력했다"(Pulpit Commentary).

󰃨 너도 동서를 따라 돌아가라 - 이 말을 풀어쓰면, 곧 '너도 동서가 결단을 내린 것처럼, 결단을 내려 너의 백성과 너의 신()에게로 돌아가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앞서 언급했듯, 나오미의 이 말속에는 다분히 여호와를 향한 룻의 신앙을 시험코자 한 의도가 엿보인다. 그렇다고 우리는 여기서 나오미(Naomi)가 오르바(Orpah)의 행동을 은근히 비난하고 있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사실 일반적인 도덕 수준에서 볼 때, 오르바도 나름대로 시모 나오미에게 최선을 다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룻(Ruth)의 각오와 신앙이 더욱 뛰어나고 위대했을 뿐이다. 따라서 나오미가 룻에게 "네 동서(오르바)는 그 백성과 그 신에게로 돌아가나니"라고 말한 것은 다만 그 결과만을 언급한 것뿐이다. 여하튼, 오르바는 떠나갔고 룻은 남았다. 이것은 마치 이스마엘은 떠나가고 이삭은 남은 것처럼(25:6), 그리고 에서는 떠나가고 야곱은 남은 것처럼(36:6) 하나님의 심오한 구속사적 경륜과 섭리의 결과였다.

16절 바토메르 루트 알 티프게이 비 레오즈베크 라슈브 메아하라이크 키 엘 아쎄르 텔키 엘레크 우바아쎄르 탈리니 알린 암메크 암미 베로하이크 엘로하이

성 경: [룻1:16]

주제1: [나오미와 룻의 신앙]

주제2: [나오미와 동행하려는 룻]

󰃨 어머니의 백성이 나의 백성이 되고 어머니의 하나님이 나의 하나님이 되시리니 -이러한 룻의 고백은 진실로 여호와만이 참 하나님이 되신다는 올바른 신앙에 근거해 있다. 자기 고향으로 돌아가면 재혼하여 남은 여생 동안은 편안한 안식처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9) 자기의 부모, 친척, 그리고 신을 떠나 아무 희망이 없는 시어머니를 따라가겠다는 룻의 결심은 단순한 효성이나 애정을 초월하여 완전한 자기희생을 감수한 위대한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다(17). 한편 여기서 우리가 간과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사실은 나오미가 이방 우상의 나라에서도 그 신앙의 빛을 잃지 않았을 뿐 아니라, 자신의 여호와 신앙을 물려주고 어려운 상황 가운데서도 신앙적으로 며느리들을 교훈시켰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전하거나 가르치는 자가 없었다면, 이처럼 룻이 훌륭한 믿음의 고백을 했을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10:14,15).

17절 바아쎄르 타무티 아무트 베솸 에카베르 코 야아세 아도나이 리 베코 요시프 키 하마베트 야프리드 베니 우베네크

성 경: [룻1:17]

주제1: [나오미와 룻의 신앙]

주제2: [나오미와 동행하려는 룻]

󰃨 만일...떠나면 여호와께서 내게 벌을 내리시고 - 룻의 신앙은 여기서 가장 확실하게 입증된다. 즉 룻은 자신의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기 위해 그녀는 이스라엘 사회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서약의 형태로 '여호와'의 이름을 들어 맹세했다(삼상 3:17;25:22;왕상 2:23). 본래 서약에는 일반적으로 어떤 표적이나 의식이 동반되지만, 여기서는 말하는 사람 자신이 그 서약을 범할 경우 스스로 벌을 받겠다는 엄숙한 형식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여기서 룻이 맹세를 할 때 '여호와'(Jehovah)라는 신명칭을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여호와'란 성호는 언약 공동체인 이스라엘 사회에서만 사용하는 고유한 신명칭이었기 때문이다(왕상 19:2). 그런데 이방인이었던 룻이 여기서 이 명칭을 사용했다는 것은 다음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룻은 나오미의 신앙을 따라 자기 나라 모압의 신을 떠나 여호와 하나님께 대한 신앙을 확실히 지니고 있었다. (2) 룻은 자신이 이방인임에도 불구하고 여호와의 성호로 맹세함으로써 이미 언약의 백성에 속해 있음을 고백했다. 이러한 룻의 신앙에 근거해 볼 때 진정 그녀는 여기서 언약을 어긴 자에게 반드시 벌을 내리시는 여호와를 경외하는 마음으로 엄숙히 맹세했다고 볼 수 있다.

18절 바테레 키 미트아메체트 히 랄레케트 이타흐 바테흐달 레다베르 엘레이하

성 경: [룻1:18]

주제1: [나오미와 룻의 신앙]

주제2: [나오미와 동행하려는 룻]

󰃨 나오미가...말하기를 그치니라 - 사실 홀로 된 나오미인들 그동안 정든 두 며느리를 떠나보내는 것을 진정 원했겠는가? 다만 두 자부의 형세적 행복을 위하여 자신의 욕심은 일단 접어두고 그들을 돌려보내려 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것은 시험적 형태를 띠게 되었고, 결국 룻만이 통과하게 되었던 것이다. 반면 두 자부는 나오미의 의도를 따라 각자 자신의 행복의 길을 추구했다. 즉 오르바는 모압 땅 자신의 아비 집에서, 룻은 찾았던 것이다. 그리고 나오미는 그 모두를 기쁘게 인정했다.

[전도서 4장 히브리어 강해] 인생 수고의 헛됨으로 인한 허무함(전 4:1-6)

 

[전도서 4장 히브리어 강해] 인생 수고의 헛됨으로 인한 허무함(전 4:1-6)

우리가 인생을 살면서 수고하고 애쓰면서 인생을 살지만 죽을 때가 되면 모두가 헛되게 살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고 구원받지 못하면 살아가는 인생은 모두가 헛됩니다

skh123.tistory.com

 

반응형